(인공지능을 위한)수학/통계학

기초 용어

Ddolgom 2022. 4. 7. 10:44
반응형
  1. 기초용어 정리

모집단(population)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특성을 수치로 나타낸 연구대상 모두의 수치적 자료집합

— 유한모집단(finite population): 모집단을 이루는 원소의 개수가 유한

— 무한모집단(infinite population): 모집단을 이루는 원소의 개수가 무한

  • 표본(sample) : 모집단으로부터 뽑은 일부분
  • 모수(parameter) :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양적인 측도

ex> 대한민국 전체 유권자의 A후보 지지율

  • 통계량(statistic) : 표본의 특성을 나타내는 양적인 측도

ex> 조사된 유권자 2,000명의 A후보 지지율

  • 연속변수(continous variable) : 어떤 실수 구간 내의 모든 수치를 가질 수 있는 변수

ex> 무게, 길이, 시간 등

  • 이산변수(discrete variable) : 하나, 둘, 셋하고 셀수 있는 수치만을 가지는 변수

ex> 사람의 수, 불량품의 개수 등

  • 표본오차(sampling error) :

— 우연오차(random error) : 여러가지 통제 불가능한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오차

— 편의(bias) : 표본추출과정에서의 치우침 발생으로 인한 오차

  • 비표본오차(non-sampling error) : 관측 (or 측정)방법의 오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표본오차 이외의 오차

통계적 추론 (statistical inference) : 표본을 조사, 분석하여 모집단의 참모습을 추측하거나 판단하는 것으로 모수에 대한 추론에 관련된다.

— 추론(estimation) : 모수의 값이 얼마인지 또는 어떤 범위 내에 들어있는지를 추측하는 것

— 가설검정(hypothesis testing): 모수의 값이나 범위에 관한 가설들을 세우고, 이들 중 어떤 가설이 참인지를 표본의 결과로부터 판단하는 것

  1. 1강. 용어 정리
  • 상호배반(mutually exclusive) : 동시에 일어날 수 없는 두 사건(사상)
  • 조건부 확률(conditional probability) : 사건 B가 일어났다는 조건하에서 사건A가 일어날 조건부 확률은 P(A|B)로 표현되며 P(B)>0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P(A|B) = P(A∩B)/P(B)
  • 독립사건(independent) : P(A∩B) = P(A)P(B)
  • 베이즈 정리 ( = 베이지안 확률)

— 임의의 사건 A가 일어났을때 사건 B가 원인일 조건부 확률은 다음과 같고 이를 베이즈정리라고 한다.

 

reference : 통계학 개론(권혁무 저), 나무위키

반응형

'(인공지능을 위한)수학 > 통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학] 정리 시작  (0) 2023.01.04
한눈에 보는 통계지도  (0) 2022.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