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8

[Python] 파일 읽고 쓰기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공부를 할때, print()문을 써서 가장 먼저 "화면 출력"부터 배우게 된다. 가장 많이 봐왔을법한 print("hello python')은 어느 교재나 인터넷에서라도 가장 첫 페이지부터 나오게 된다. 그 전에 먼저 파일을 통한 입출력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단순하게 IDE나 colab에서 코드를 짜서만 할수 없는 일들이 있다. 외부 파일을 불러와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txt파일 또는 인공지능에서 필요한 데이터셋의 파일의 형식인 csv. 그리고 딥러닝에서 학습시킨 model을 파일로 저장할때, h5파일을 불러오는 일은 굉장히 중요하다. 그리고 Open CV등을 하게 된다면 이미지 파일을 읽고 여는 것도 중요하다. h5파일은, 딥러닝 모델과 계산을 통해 얻은 가중치(wei..

Python/Basic 2022.04.17

1주차 - SEO 정의와 다양한 SEO

* 1. 검색엔진최적화(SEO)의 정의 검색엔진 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의 정의하면 검색 엔진을 사용하는 타깃 고객에게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상위 노출하기 위한 기술적이고도 전략적인 작업이다. >Pixabay 좀더 구체적으로 기술하자면, 검색 의도에 맞게 웹페이지를 최적화하여 검색결과 페이지에서의 노출을 늘리고 검색 엔진으로부터 웹 페이지로의 자연 유입 트래픽을 늘리는 시책. 검색은 소비자들의 질문이고 검색후 나오는 콘텐츠는 답이라고 볼수 있는데, 소비자가 던진 질문에 대한 원하는 답을 즉각 제공하는 것이고 궁극의 콘텐츠 마케팅이라고 할 수 있다. * 2. 검색엔진최적화(SEO)를 하는 이유 CTR이란? Click-Through rate 즉, 클릭률을 의미한다...

Colab에 Machinelearning과 Deeplearning을 위해 Dataset 불러오는 방법(Google Drive 연동)

Colab에서 딥러닝을 위해서 Dataset을 불러오는 방법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사실 실무에서는 Local을 많이 활용하긴 하지만, 최근 상업용 Cloud를 임대해서 쓰는 추세이고 Colab은 상업용으로 쓰이기보다는 교육용 또는 Kaggle과 같이 대회를 위해서 많이 사용이 되는 것 같다. 코랩과 리눅스에 익숙하지 않는 사람에게 항상 사용 전에 머리를 아프게 하는 것이 있다. 가령 Deep learning으로 쓸 데이터셋을 불러오거나 할 때 어떻게 불러와야 하는지이다. Dataset의 용량이 적으면 상관이 없다. 코랩에서 좌측 폴더 모양 클릭 후 상단의 업로드 아이콘(노란색) 눌러서 매뉴얼로 업로드하고 옮기고자 하는 폴더에 드래그 형식으로 옮겨서 저장을 하면 된다. 하지만, 크리티컬 한 단점이 존재하게..

2차 해커톤 준비를 위한 Poc Lab

"앞으로 하시게 될제품 혹은 아이템들에 대한 개발 기획을 미리 경험해 보자" 개인 개발계획서 작성기간 : 22년 4월 13일 ~ 14일 제출기한 : 14일 19시까지 발표 기간 : 4/15 (최소 2분) ※ 평가 항목 실현 가능성이 있는가? 사용할 데이터가 충분하거나 수집 가능성이 있는가? 관련된 논문이나 모델 등 참고할 자료가 있는가? 개인별 작성 개요 개발 목적 : 아이템 선정 이유 및 중요성을 간략히 기재 아이템 소개 : 핵심 기능, 사용처, 사용자층 등 주요 내용 중심으로 간략히 기재 아이템의 차별성 : 기존 솔루션과의 차별성 요약 이미지 : 목표하는 최종 결과물에 대한 이미지 혹은 설계도 레퍼런스 : 아이템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는 논문 혹은 초기 데이터셋 데이터 수집 : 데이터 확보 계..

기초 용어

기초용어 정리 모집단(population)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특성을 수치로 나타낸 연구대상 모두의 수치적 자료집합 — 유한모집단(finite population): 모집단을 이루는 원소의 개수가 유한 — 무한모집단(infinite population): 모집단을 이루는 원소의 개수가 무한 표본(sample) : 모집단으로부터 뽑은 일부분 모수(parameter) :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양적인 측도 ex> 대한민국 전체 유권자의 A후보 지지율 통계량(statistic) : 표본의 특성을 나타내는 양적인 측도 ex> 조사된 유권자 2,000명의 A후보 지지율 연속변수(continous variable) : 어떤 실수 구간 내의 모든 수치를 가질 수 있는 변수 ex> 무게, 길이, 시간 등 이..

반응형